PDF 파일을 읽을 때는 어떤 프로그램으로 보시나요?
아마 Adobe 사에서 만든 reader 를 많이 사용하실 꺼예요~
보통 '아크로뱃 리더'라고 검색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하곤 하지요.
이번 2월 19일에 이 회사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의 'security'(보안)메뉴에
자사 프로그램의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니 주의하라는 내용이 올라왔습니다.
출처 : http://www.adobe.com/support/security/advisories/apsa09-01.html
내용 :
A critical vulnerability has been identified in Adobe Reader 9
and Acrobat 9 and earlier versions.
This vulnerability would cause the application to crash and
could potentially allow an attacker to take control of the affected system.
There are reports that this issue is being exploited.
간단히 말해서,
Adobe Reader 의 취약점을 통해 감염된 후에는,
공격자가 감염된 PC를 제어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이 부분과 관련하여 Adobe Reader 9.0 버전은 2009년 3월 11일에 패치를 하고,
Adobe Reader 8.0 과 7.0 버전은 그 후에 패치한다고 하네요 ^^
패치 나오기 전까지는 이렇게 이용하시기를 권장해 드려요~
( 이스트소프트 사내에서도 전체 공지했던 내용이예요. )
1. PC에 알약과 같은 백신 프로그램을 꼭 설치해서 실시간 감시 기능을 켜두세요
2. 임시 대책이지만, Adobe Reader 실행 후 편집-기본설정-javascript 에서
Acrobat JavaScript 사용가능의 체크를 없애고 이용해 주세요~!
Adobe Reader 를 어떻게 실행하는지 모르시겠다구요?
예를 들어, 만약 Adobe Reader 7.0 을 쓰는 경우라면 아래 폴더를 열면 됩니다.
C:\Program Files\Adobe\Acrobat 7.0\Reader 폴더에서 AcroRd32.exe 를 실행합니다.
Acrobat 9.0 을 쓴다면, 아래 폴더를 열고
C:\Program Files\Adobe\Acrobat 9.0\Acrobat 에서 Acrobat.exe 를 실행합니다.
패치 나온 후에는 꼭 패치 프로그램 설치하시구요,
2번으로 안내해 드린 내용은 그 이후에 다시 체크해서 이용하시면 되요~
'알툴즈 Tip > 알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약] 메신저로 전파되는 V.WOM.Messenger.pbe 알약으로 꼭 치료하세요! - 이스트소프트 (0) | 2009.04.15 |
---|---|
[바이러스]인터넷창에 따라다니는 TTMS! 알약으로 치료하세요~TTMS NAA NA DIR! DON'T WORRY I'M NOT A CORRUPT LIKE YOU! (5) | 2009.04.02 |
[알약보안정보] 네이트온, MSN, 버디버디 메신저이용할 때 V.WOM.NateOn.331776 악성코드 감염 주의 (0) | 2009.03.03 |
일부 비스타 PC의 재부팅 현상 복구 방법 (0) | 2009.02.26 |
알약 정밀검사로 2090 악성코드(V.WOM.Aimbot.cc) 치료하세요~ 예방은 이렇게... (1) | 2009.02.13 |